vi 편집기 사용
vi 모드
▪ 입력/명령/실행
입력: 화면에 글자 입력
명령: 파일을 편집하는 작업
실행: 파일의 저장, 읽기, 외부명령실행, 종료
▪ 커서의 이동
문자이동:hjkl (원격으로 접속할 때 방향키가 안먹을 수도 있다.)
^ 맨 왼쪽의 첫 글자
$ 마지막 글자의 끝
G 파일의 마지막 행
nG n행
▪ 입력모드
입력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키 A I
입력모드 빠져나오기 ESC
저장 :W 종료 :q
저장과 종료 동시에 :Wq
저장하지 않고 종료 :q!
▪ 명령 모드
x 한글자 지우기
dw 커서 오른쪽 단어 삭제
db 커서 왼쪽 단어 삭제
dd 한줄 삭제
100dd 100줄 삭제
yy 한줄복사
10yy 10줄 복사
p 현제 커서 아래로 복사
np n번 붙여넣기
u 복구하기
r+문자 한글자 치환
R 치환모드
cw 한단어 치환하기
~ 대소문자 전환
/검색어 아랫방향으로 찾기
?검색어 위 방향으로 찾기
n 다음 찾기
▪실행 모드
실행모드 명령모드에서 : 입력
치환관련
%s/old/new/g old를 new로 치환
` %s/^old/new/g 행의 첫단어가 old인 것을 new로 치환
%s/old$/new/g 행의 끝단어가 old인 것을 new로 치환
파일관련 명령
:w 파일명 “파일명”으로 저장
:q 저장하지 않고 종료
:e 파일명 “파일명”의 파일을 불러들여 편집
:r 파일명 “파일명”의 파일을 읽어서 삽입
:! 명령어 외부명령어 실행
▪환경설정
주 설정 내용
set autoindent 자동들여쓰기
set cindent C 파일 자동 들여 쓰기
set number 행번호 표시
set backup 백업파일 자동생성
.bash_profile PATH를 넣어두었었다.
/usr/share/vim/vim61/vimrc_example.vim ▶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▶ .vimrc 로 복사하여 편집한다.
그러면 항상 행번호가 표시된다.
주의사항
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했을 때 파일복구 방법
vi a.txt 강제종료 ▶ .a.txt.swap 파일 생성
다시 편집할 때 복구 메시지 출력된다.
R : 해당화면에 복구
E : 그냥 고치기 (나중에 :recover를 통해 복구 가능)
# info ls > myls.txt ▶ ls파일 설명을 myls.txt파일로 저장
gedit gui모드로 변경
'컴퓨터_모바일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m1 디바이스를 eth0로 바꾸기 (0) | 2019.07.20 |
---|---|
du 명령어 (0) | 2019.07.20 |
make 할 때 log 남기기 (0) | 2019.07.20 |
iptables 사용예시 (0) | 2019.07.20 |
쉘 스크립트 기초 (0) | 2019.07.20 |